P2E 게임의 재부상, 법 개정으로 스테이블코인 연동 가능성 열리나

[email protected]



블록체인 기반의 P2E(플레이 투 언) 게임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특히, 원화로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의 도입이 논의되면서 관련 게임들이 재조명되고 있지만, 국내외 게임 산업의 상황은 여전히 복잡하다. 최근 국회의 정무위원회는 디지털자산기본법안을 법안심사소위원회에 상정하였는데, 이 법안의 제3조는 게임 내에서 얻은 아이템이나 재화가 디지털 자산에서 제외되도록 하면서도, 거래소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 대통령령으로 예외를 두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법안이 통과된다면, 사실상 원화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아이템 거래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P2E 게임은 2021년 베트남의 ‘액시 인피니티’의 성공 이후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게임 형태로 주목받았다. 이 게임의 특징은 유저가 아이템과 캐릭터를 대체불가토큰(NFT)으로 제작하여 가상화폐와 교환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여전히 문제는 이 시스템이 현실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한국의 법률은 게임 결과로 창출된 재화를 현금으로 환전하거나 경품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어, P2E 게임의 국내 정식 출시는 사실상 불가능했으며, 많은 게임들이 해외에서만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소비자 보호 문제 또한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액시 인피니티는 해킹 사건으로 약 7천억 원의 피해를 입었고, 국내 대형 게임사인 위메이드의 자체 코인인 위믹스는 여러 차례 국내 거래소에서 상장 폐지되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일부 P2E 게임들은 사행성과 투기성을 조장하여 게임 본연의 재미보다 거래와 수익에 초점을 맞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서 “여가활동인 게임을 노동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소비자의 욕구와 뚜렷하게 동떨어져 있다”는 회의적 시선이 제기되고 있다.

글로벌 게임 산업의 흐름도 P2E에 대해서는 기대보다는 우려가 크다. 2023년 8월 독일에서 열린 세계 최대 게임 박람회 ‘게임스컴 2025’에서는 블록체인 게임을 찾아보기 어려웠으며, 오히려 기존의 전통적인 게임들이 더 많은 주목을 받았다. 현재 국내외 앱 마켓 상위권은 NFT나 블록체인과는 거리가 먼 게임이 잠식하고 있으며, 많은 유저들이 P2E 요소보다 몰입감이 높은 콘텐츠를 선호하고 있다.

게임 기업들의 실적에서도 이러한 분위기가 반영되고 있다. 위메이드는 지난 2분기 전체 게임 매출에서 블록체인 게임이 차지한 비중이 단 23%에 불과하였다. 넥슨, 컴투스, 넷마블 등 다른 많은 게임사들의 블록체인 게임 매출도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에 생성형 인공지능 등의 최신 기술 트렌드에 적응한 신작은 고속 성장세를 보이며 시장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향후 국내의 법·제도 정비와 함께 P2E 게임의 향방을 결정짓는 중대한 기로가 될 수 있다. 일부 관계자들은 관련 입법을 통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다시 프로그램할 기회라고 보고 있지만, 사행성 문제와 콘텐츠 완성도 부족 등을 고려할 때 소비자의 신뢰가 회복되지 않는 한 재도약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