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블랙록의 이더리움(ETH) 현물 ETF에 대한 스테이킹 허용 제안을 공식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기관 투자자들의 이더리움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커졌다. 비록 최종 승인이 이루어지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지만, SEC의 접수 승인은 시장에 중대한 변화의 전조로 여겨진다.
블랙록과 나스닥은 ‘iShares 이더리움 트러스트(ETHA)’를 통해,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이더리움을 네트워크에 예치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보상 수익을 펀드에 귀속시키는 구조로의 변경을 SEC에 제안했다. 이 제안은 SEC 19b-4 규정의 개정을 요청하는 것으로, 앞으로 일반 대중과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수렴 절차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현재 ETHA는 운용자산(AUM) 기준으로 최대 이더리움 ETF로, 출범한 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100억 달러(약 13조 9,000억 원)를 돌파하는 업계 역사상 세 번째로 빠른 기록을 세운 바 있다. 특히 7월 2일 하루 동안 4,690만 달러(약 651억 원)가 유출되었던 것을 제외하면, 이후 빠르게 회복하며 한 달 동안 총 40억 달러(약 5조 5,600억 원) 규모의 순유입이 이루어졌다.
기관 자금이 대규모로 유입되면서 이더리움 가격은 지난 한 달간 50% 이상 급격히 상승했으며, 4월 초의 저점과 비교했을 경우 150% 이상의 상승폭을 보이며 현재 4,000달러(약 5,560만 원) 선에 도달해 있다. 이처럼 ETHA의 성장은 이더리움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더욱 강력한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를 이끌어낼 가능성이 있다.
이번 SEC의 문서 수령은 단순한 서류 작업이 아니다. 스테이킹 기능을 ETF 구조에 포함시키는 방법에 대해 공개 검토를 시작한 첫 사례로, 규제와 혁신 간의 균형을 숙고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SEC가 이 제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향후 이더리움 ETF의 스테이킹 도입이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SEC의 결정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스테이킹의 확산 효과에 대한 주목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