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블랙록의 이더리움(ETH) 현물 ETF에 대해 스테이킹 기능을 허용할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XRP ETF의 승인 일정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ETF 전문가인 네이트 제라시(Nate Geraci)에 따르면, SEC는 새로운 암호화폐 ETF 승인을 고려하기 전에 기존 이더리움 ETF의 구조를 보완하는 데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SEC는 최근 나스닥이 제출한 블랙록의 아이셰어즈 이더리움 트러스트(iShares Ethereum Trust)와 관련된 19b-4 신청서를 공식적으로 수리했다. 해당 신청은 ETF 내에서 스테이킹 프로그램을 허용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는 현물 이더리움 보유로부터 예상되는 수익 창출 기능의 도입이 핵심이다. 제라시는 이러한 요청이 자신의 체크리스트의 마지막 과제가 되었으며, SEC가 “다른 ETF보다 이 안건을 우선적으로 처리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스테이킹 기능이 ETF에 포함되면 이더리움의 이자 수익 기능이 전통 금융 상품에 연계되어 새로운 투자 유인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가격 상승 기대를 넘어서, 투자자들에게 지속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구조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는 다가오는 ETF 경쟁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SEC는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 ETF에 대해 현물 기반 창출 방식(in-kind creation and redemption)을 이미 승인한 상태이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ETF에 참여할 때 달러 대신 암호화폐(BTC, ETH)로 직접 거래할 수 있어 세금 효율과 거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는 ETF 산업 내에서 구조적 진보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 개선이 진행되는 동안, XRP ETF에 대한 승인 논의는 후순위로 밀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SEC는 이더리움 ETF의 구조 보완에 먼저 집중할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제라시는 SEC가 “새로운 ETF를 승인하기보다는 기존 ETF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더 우선과제”라고 강조했다.
결과적으로 ETF 업계는 단순한 종목 확장의 경쟁이 아닌 각 자산의 고유 기능을 반영한 정교한 설계 경쟁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XRP ETF의 승인은 당분간 지연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SEC의 이더리움 ETF 스테이킹 기능 검토는 시장 내 다양한 변화와 경쟁 구도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의 투자 결정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