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 암호화폐 스타트업과 소통 강화 위해 ‘크립토 라운드테이블’ 개최

[email protected]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오는 가을부터 10개 도시를 순회하며 암호화폐 산업 관계자들과의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다. SEC 커미셔너인 헤스터 피어스(Hester Peirce)는 ‘크립토 태스크포스’의 일환으로, 스타트업, 개발자, 투자자들과의 라운드테이블을 열어 디지털 자산 규제에 대한 현장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8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며, 특히 창업 2년 이내이거나 직원 수가 10인 이하인 암호화폐 스타트업을 주요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피어스 커미셔너는 이 규제 프레임워크가 시장에 미칠 영향은 매우 크며, 다양한 의견 수렴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SEC는 이미 2025년에 개최된 라운드테이블에서 업계 대기업과 전통 자산 운용사 간의 다양한 주제를 논의한 바 있다. 주요 논의 주제에는 암호화폐 규제, 자산 보관(Custody), 분산 금융(DeFi), 그리고 토큰화(Tokenization)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방침은 단순한 규제 집행에 그치지 않고, 업계와의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SEC는 1934년에 설립된 미국의 증권 감독 기관으로, 지금까지 암호화폐 업계와의 갈등이 잦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SEC는 코인베이스(Coinbase), 유니스왑(Uniswap), 크라켄(Kraken) 등 주요 암호화폐 기업들에 대한 소송을 철회하며 업계와의 대화와 소통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조정하고 있다.

SEC의 이번 순회 소통에 대한 과거 사례는 명확히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관련 예산은 미 의회의 배정으로 충당된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암호화폐 산업을 미국 경제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약속의 일환으로 해석되고 있다. 지난 7월 18일, 트럼프 대통령은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인 GENIUS법에 서명했으며, ‘CLARITY 법안’도 하원을 통과해 암호화폐 시장의 법제화가 가시화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친암호화폐 정책은 SEC에만 국한되지 않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및 통화감독청(OCC) 등 정부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연준은 올해 6월, 암호화폐 기업이 은행에 접근하는 데 대한 ‘평판 리스크’ 분류를 삭제한 바 있으며, OCC도 보다 완화된 감독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SEC의 전국 순회 라운드테이블은 단순한 이벤트를 넘어,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산업 제도권 편입 전략이 점차 정교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업계에서 이러한 움직임은 새로운 규제 환경이 긴장보다는 협력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받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