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암호화폐 상장지수펀드(ETF)의 승인 절차를 대폭 간소화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디지털 자산 시장이 제도권으로 본격적으로 편입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SEC는 나스닥, 뉴욕증권거래소 아카(NYSE Arca),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BZX) 등 주요 거래소가 제안한 ‘일반 상장 기준(generic listing standards)’ 도입을 검토 중이다. 이 기준이 도입되면 암호화폐 기반 ETF도 별도 심사 없이 간단한 요건만 충족하면 자동으로 상장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비트코인(BTC) 현물 ETF의 승인에 10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던 과거와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실제로 2024년 초, 법원의 압박을 통해 미국에서 처음으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되며 디지털 자산 상품이 공식적으로 자본시장에 등장하게 되었다. 이어서 이더리움(ETH) ETF도 승인되었지만, 여전히 복잡한 규제 절차와 정치적 불확실성이 시장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왔다.
SEC가 검토 중인 새로운 규정이 시행된다면 ETF의 상장 심사 기간이 기존의 240일 이상에서 60~75일로 단축될 전망이다. 특히 이렇게 되면 솔라나(SOL), XRP, 도지코인(DOGE) 등 주요 알트코인에 대한 ETF 상품의 출시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ETF는 테마형 바스켓 상품이나 스테이킹 연동 구조 등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선물 시장에서 거래 이력을 충분히 확보한 암호화폐를 대상으로 하여 시장의 안정성과 상품의 신뢰성을 동시에 고려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비판론자들은 ETF 구조가 가상자산의 금융화를 가속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ETF는 철저한 안전장치와 투명한 운용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기관의 감시 하에 거래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더욱 안전하고 투명한 투자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전통 금융 시장에서 요구되는 보관 절차와 운용 규정, 감시 체계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 보호에도 긍정적이라는 의견이 많다.
글로벌 차원에서 볼 때, 미국은 디지털 자산 관련 규제에 있어 상대적으로 뒤처지고 있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유럽연합의 ‘MiCA(가상자산시장 법안)’ 또는 홍콩과 싱가포르의 명확한 라이선스 체계는 미국보다 훨씬 신속하게 규제 체계를 마련했다. SEC가 명확한 상장 기준을 제정한다면, 이는 미국이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주도권을 되찾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
SEC의 최종 결정은 2025년 9월로 예상되며, 만약 승인된다면 연말까지 100개 이상의 암호화폐 ETF 신청이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신청들에는 알트코인 기반 상품뿐만 아니라 주식이나 원자재와 결합된 혼합형 ETF도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2025년 8월에 SEC가 ETF 상품의 실물 기반 환매 방식(in-kind redemption)을 승인하여 상품 운용의 효율성을 높인 점을 고려하면, 일반 상장 기준 도입은 ‘마지막 관문’으로 평가된다.
모든 자산이 전통 금융과 같은 대우를 받아야 한다는 의견에 대한 반론도 존재하나, 규제의 본질은 특정 자산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투자자에게 공정하고 투명한 시장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디지털 자산을 규제의 사각지대에 방치한다면, 투자자들은 불완전한 보호 체계를 가진 비인가 거래소나 해외 플랫폼을 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ETF는 이러한 자산을 미국 금융 규제 틀 안으로 안전하게 끌어들이는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