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 위원 헤스터 피어스, 오픈VPP와의 협업설 강력 부인

[email protected]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인 헤스터 피어스(Hester Peirce)는 최근 암호화폐 프로젝트인 오픈VPP(OpenVPP)와의 협업에 대한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다. 이 논란은 오픈VPP 측이 피어스와의 만남을 기념하며 소셜미디어에 함께 찍은 사진과 협업을 암시하는 문구를 게시한 이후 촉발되었다. 이에 피어스는 즉각 해당 게시물을 반박하며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문제의 게시물에는 피어스와 오픈VPP의 최고경영자(CEO)인 파르트 카파디아가 함께한 사진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 사진과 함께 ‘에너지 토큰화 프로젝트’에 대한 협력관계를 시사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이에 대해 피어스는 자신의 SNS에서 “나는 민간 암호화폐 프로젝트나 기업과 일하지 않으며, 이를 지지하지도 않는다”는 강한 입장을 밝혔다. 또한, “규제적 장애물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프로젝트 측과 만나는 것은 환영하지만, 이는 결코 공식적인 협력이나 지지 표현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피어스는 ‘크립토 맘’이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암호화폐에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현재 SEC 내 암호화폐 태스크포스를 이끌고 있다. 이 태스크포스의 목표는 직원 수가 10명 이하인 초기 암호화폐 기업과의 소통 채널을 확보하고, 이들 기업의 규제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뉴욕, 로스앤젤레스, 애틀랜타 등 주요 도시에서 순회 라운드테이블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이번 사건은 헤스터 피어스의 공적 개방적인 태도가 어떻게 민간 프로젝트에 의해 왜곡되거나 과장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공직자의 만남 및 논의가 외부에선 함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유사한 상황에 대한 예방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뒤따르고 있다.

SEC는 최근 몇 년간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위험성과 혁신성을 동시에 고려한 차별화된 접근법을 시도하고 있다. 피어스가 이끄는 태스크포스는 특히 대규모 투자자보다 소규모 개발팀이나 신생 기업의 ‘규제 수용 여건’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는 기존의 규제 방식과는 다른 혁신적인 접근으로, 초기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논란은 다행히 단순한 오해로 마무리된 것으로 보이지만, 공적 인물과 민간 프로젝트 간의 소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식 차이에 대한 경각심을 다시 한번 일깨웠다. 이러한 점에서 SEC와 암호화폐 업계 간의 명확한 기준 설정 및 소통 원칙 정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앞으로 이러한 이슈가 재발하지 않도록 보다 투명한 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개선 요구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