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커미셔너인 헤스터 피어스는 최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사칭 사기에 주의하라는 경고를 발신했다. 특히, 그녀는 자신을 사칭한 가짜 계정이 텔레그램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일반 투자자들에게 혼란과 피해를 주고 있음을 알렸다. 피어스는 자신의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나를 가장한 누군가가 사기를 도모하고 있다”며, 만약 누군가가 익명의 텔레그램 계정을 통해 코인을 추천하거나 ‘에어드롭 이벤트’를 통해 금전을 요구한다면, 이는 대다수 경우 사기임에 틀림없다고 강조했다.
이런 사기의 위험 요소는 최근 들어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투자자 빌 휴스는 SNS를 통해 SEC 커미셔너가 비트코인을 두 배로 돌려주겠다고 속여 한 개를 송금했지만 여전히 아무런 응답이 없었다고 전했다. 이와 같은 피해 사례는 개인 사용자들이 얼마나 쉽게 사기에 노출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또한, 텔레그램은 널리 알려진 개인들로부터 발생하는 사칭 범죄의 온상이 되고 있다. 바이낸스의 CEO 창펑 자오 또한 텔레그램의 스팸 메시징과 사기 때문에 해당 플랫폼 사용을 자제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대중적 인물의 프로필이 텔레그램 내에서 쉽게 노출될 경우,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기 사건의 위험성이 더욱 늘어나는 것이다. 게다가 텔레그램은 특정 사용자를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제한적이라는 점이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
피어스 커미셔너는 또한 지난 5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비트코인 컨퍼런스에서 사기 문제에 대해 강력한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녀는 SEC가 악의적인 인물들에 대해 단호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언급하며, 특히 ‘밈코인’ 같은 고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 정부의 지원이나 구제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SEC는 최근 그들의 규제 집행 우선순위를 약간 완화하고 있다는 해석이 있지만, 피어스는 여전히 투자자 보호와 사기 예방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현재와 같이 가짜 계정이나 사칭에 노출되지 않기 위해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에게 경각심을 갖고 경계를 늦추지 말 것을 권장하고 있다. 크립토 시장과 관련된 정보를 접할 때, 항상 신중함을 잃지 않아야 할 중요한 시점임을 다시 한번 명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