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SK실트론 경영권 매각 추진…3조원대 확보 기대

[email protected]





SK그룹이 국내의 저명한 반도체 실리콘 웨이퍼 제조업체인 SK실트론의 경영권 매각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혀 주목을 받고 있다. SK그룹은 부채비율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주)는 주요 사모펀드들과 접촉하며 SK실트론 경영권 매각을 물밑에서 타진하고 있다. 매각 대상은 SK(주)가 직접 보유한 51%의 지분과 총수익스왑(TRS) 계약으로 묶여 있는 일부 소수 지분이다.

현재 SK실트론의 지분 구조는 SK(주) 51%와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이 각각 설립한 특별목적회사(SPC)로 나뉘어 있다. SPC가 보유한 49%의 지분 중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9.4%를, TRS 계약으로 연계된 19.6%는 SK(주)가 가지고 있다. 이 TRS 계약에 따라 증권사들은 SK(주)와 최 회장의 인수 대금을 책임지는 대신 수수료를 받고, SK실트론 지분에서 발생하는 변동 수익은 SK(주)와 최 회장에게 이전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TRS 계약은 2027년에 만료되며, 만료 시점에 증권사들은 SK(주)로부터 약 1691억원과 최 회장으로부터 약 2536억원을 지급받는다. 현재 예상되는 경영권 매각은 SK(주)의 51%와 SK(주)가 보유한 TRS로 연계된 19.6%를 합쳐 총 70.6%의 지분을 판매하는 것이다. SK실트론의 기업 가치를 5조원 내외로 추산할 경우, 이번 매각을 통해 SK(주)는 약 3조원대 중반의 자금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SK(주)의 개별 재무제표 기준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86%에 달했다. 하지만 SK실트론 매각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부채비율은 50%대까지 낮춰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전략은 SK그룹이 재무 건전성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으로 평가된다. SK그룹은 이번 매각을 통해 얻은 자금을 다양한 투자 및 사업 확장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