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보령LNG 유동화에 원금 보장 없이 나서

[email protected]



SK이노베이션 E&S가 보령LNG터미널의 50% 지분을 담보로 약 6,000억원을 금융 시장에서 조달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투자자들에게 원금 보장 없이 앞으로 20년간 연환산 내재수익률(IRR) 7~8%를 제공하겠다는 조건을 내세운 것으로 파악됐다. 업계에서는 원금 보장이 없는 투자 조건이 기관 투자자들에게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2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 E&S는 보령LNG터미널의 유동화와 관련해 투자자들에게 22년간 유지되는 IRR을 제시하며, 이 수익률이 최소한의 매출 보장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원금 보장 조항이 포함될 경우, SK이노베이션의 재무제표 상에서 해당 투자금이 ‘부채’로 반영돼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SK이노베이션 E&S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원금 보장 없이 7~8%의 IRR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금융 구조는 업계에서는 다소 이례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해 SK이노베이션 E&S는 도시가스 사업과 LNG 발전 사업을 유동화하면서 투자자들에게 원금과 함께 일정한 IRR을 보장하는 조건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최근 메리츠증권이 SK이노베이션 E&S의 LNG 발전사업 유동화에 5조원을 투자했던 사례가 그것이다. 이 경우 메리츠증권은 원금과 5%대 IRR을 보장받았다.

IB 업계 관계자들은 SK 측의 조건이 인프라 펀드와 같은 주요 투자자들에게는 위험이 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맥쿼리자산운용, 블랙록, IMM인베스트먼트, 브룩필드 등 다양한 인프라 펀드가 이 거래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IMM인베스트먼트는 보령LNG터미널의 주요 주주인 GS에너지의 자회사인 GS파워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더 많은 고려 대상이 되고 있다.

보령LNG터미널은 SK이노베이션 E&S와 GS에너지가 2013년 공동으로 설립한 프로젝트로, LNG를 터미널에 저장한 후 이를 기화하여 발전소나 석유화학업체에 공급하는 구조이다. SK에너지, SK E&S, GS그룹 계열사들이 장기 계약을 통해 보령LNG터미널과의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연간 약 2,000억원의 EBITDA를 기록하며 양호한 현금 흐름을 보이는 것이 그 장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결국 SK이노베이션 E&S가 보령LNG 터미널을 기반으로 한 유동화를 추진하는 이유는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라는 점에서 이 거래가 향후 어떻게 진행될지가 주목된다. 과연 시장이 원금 보장 없이 제시된 IRR 조건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그리고 SK이노베이션의 유동화 계획이 성공적으로 이행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