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에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암호화폐 투자 사기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피해자들은 종종 로맨스 스캠이나 부업 소개를 통해 접근한 가해자들에게 속아 금전을 송금하는 사건이 빈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본 경찰이 시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최근 일본 지역 매체 TV유야마가타는 야마가타현 내에서 SNS를 활용한 가상화폐 사기 피해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보도를 했다. 범죄수법은 호감을 이용한 방식으로 시작된다. 피해자들은 종종 SNS에서 자신을 한국인 남성으로 소개한 가해자와의 메시지를 교환하면서 정서적 유대를 느끼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피해자에게 가상화폐 투자를 권유하는 가해자는 특정 계좌 개설과 송금을 요구하여 금전적 피해를 입히는 구조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1월 야마가타현 요네자와시에 거주하는 70대 여성 A씨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한국인 남성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B씨와 알게 되었다. A씨는 그와의 대화에서 호감을 느끼게 되었고, B씨는 “투자를 하면 더 나은 생활을 할 수 있다”고 유도하여 결국 A씨는 6차례에 걸쳐 총 약 1875만 엔(약 1억7600만 원)을 송금하게 된다. 그러나 이후 B씨가 추가 송금을 요구하자, A씨는 의심을 품고 경찰에 도움을 요청하면서 사기 피해를 인지하게 되었다.
또 다른 사례로는, 9월에 야마가타시에 거주하는 30대 여성이 나타났다. 그녀는 SNS의 ‘부업 소개’ 게시물에 댓글을 달고 인스타그램 DM을 통해 연락을 받았다. 이후 가해자는 “80만 엔(약 752만 원)을 준비하면 300만 엔(약 2818만 원)으로 돌려주겠다”며 유혹했고, 여성을 속여 두 차례에 걸쳐 약 375만 엔(약 3523만 원)을 송금하도록 유도하였다. 가해자는 SNS를 통해 최대 4배의 수익을 약속하며 피해자를 압박하여 송금하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사건들을 통해 일본 경찰은 SNS 등 온라인에서 알게 된 상대가 투자를 제안할 경우, 이로 인한 사기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경계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함부로 송금하지 말고, 신뢰할 수 있는 개인이나 기관과의 상담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암호화폐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사기가 늘어나면서, 사용자들의 경각심이 절실히 필요하다. SNS를 통한 대화는 필연적으로 결제와 같은 조건을 수반할 수 없는 만큼, 익명의 상대방에게 금전을 송금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이다. SNS에서의 상식과 경계가 필요한 시점임을 경찰은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