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M을 포함한 10개 기업이 모여 ‘AI² 컨소시엄’을 출범시키고, 트랙터와 작업기, 인공지능(AI) 기술의 융합을 통한 미래 농업의 혁신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 농업의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시도로, 기술력을 바탕으로 농업 현장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번 컨소시엄에 참여한 기업들은 TYM과 그 자회사인 ROOT, TYMICT를 비롯하여 AI 솔루션 제공업체인 마음AI, AIS, 그리고 다양한 작업기 제조사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함께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피지컬 AI(Physical AI)’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를 통해 농기계 업계 최초로 트랙터와 작업기의 자율주행 및 자율작업 기능을 통합 구현하게 된다.
정밀 농업 솔루션 또한 AI² 컨소시엄의 핵심 목표 중 하나로, 날씨 및 토양 데이터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농업 실무에 반영함으로써 농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특히, 트랙터의 자율주행뿐 아니라 여러 작업기를 하나로 묶어 자율 주행할 수 있게 하는 점에서 큰 혁신이 기대된다. 이러한 접근은 농민들의 작업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보인다.
컨소시엄의 참여사들은 TYM 트랙터와 최적화된 상태로 작업기를 개발하고 공급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농민들은 전국 어디서든 원스톱으로 트랙터와 작업기를 구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농민들이 개별 업체의 영업망에 의존하지 않고, 보다 합리적이며 편리하게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YM은 연구개발과 자원 관리, 그리고 참여사 간의 기술 교류 및 공동 마케팅 협력을 주도해 나갈 방침이다. 이러한 협력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참여사 간의 역량 결집을 통해 성과를 높일 계획이다. 또한, 북미와 유럽에 구축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새로운 해외 시장에도 공격적으로 진출할 예정이다.
컨소시엄 참여 기업들은 이번 협력을 통해 농기계 제조사와 AI 솔루션 공급사, 작업기 제조사 간의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며, 기존 사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도훈 TYM 대표이사는 “AI와 농기계를 융합해 고객 중심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미래 농업의 핵심 경쟁력”이라고 강조하며, “이러한 혁신을 통해 농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