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메사리 리서치(Messari Research)는 소셜파이(SocialFi) 프로젝트인 유엑스링크(UXLINK)의 토큰 생태계와 그 성과를 집중 분석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UXLINK는 2025년 7월 기준으로 토큰 생성 이벤트(TGE) 1주년을 맞이하였으며, 전체 공급량 10억 개 중 약 4억 7,900만 개가 유통되고 있다.
UXLINK 토큰은 이중 제약 분배 모델을 통해 설계되어 있으며, 전체 토큰의 65%가 커뮤니티에 할당된다. 이들 커뮤니티 할당 토큰은 ‘4년간의 베스팅 일정’과 ‘1억 사용자 달성’이라는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만 유통된다. 이러한 이중 제약 메커니즘은 시간이 아닌 실제 생태계 성장률을 토대로 공급 압력을 조정하는 효과를 만들어낸다.
TGE 이후, 2024년 12월 24일에는 유입 자금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가격이 2.16달러를 기록, 시가총액은 약 3억 6,7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연이어 일일 거래량이 144억 달러로 급등하는 결과를 낳았다. 메사리는 이 같은 성장을 거시경제 정책 완화와 유동성 확대, 공급 제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했다. 그러나 조정기를 거쳐 현재 UXLINK는 0.36달러로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약 1억 7,500만 달러, 하루 거래량은 8,390만 달러이다.
토크노믹스 측면에서 UXLINK는 복잡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커뮤니티 외에도 팀과 투자자, 재무 분배별로 상이한 베스팅 조건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당량이 락업 상태로 잠겨 있다. 현 시점에서 커뮤니티 기반 모델 하에 5,400만 명의 사용자가 확보되어 있으며, 연간 성장률을 고려할 때 4년 내에 1억 명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에어드롭 관점에서도 UXLINK는 ‘UXUY 포인트’라는 온체인 활동 기반 포인트 시스템을 통해 보상이 차등화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과 참여도를 기반으로 하여 청구된 토큰이 즉시 유통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생태계 확산을 유도하는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UXUY 포인트는 초대 참여, 캠페인 응답, 파트너사의 외부 활동 등을 통해 적립된다.
UXLINK는 또한 다양한 유틸리티 확장을 계획 중이다. 원 가스 프로토콜을 통해 여러 체인에서 가스비 결제 수단으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디앱 서비스 접근, API 이용료, 후지페이(FujiPay) 카드와 같은 오프체인 사용 사례에도 주목하고 있다. 특히 후지페이 카드는 암호화폐와 전통 결제 방식 간의 연결성을 강화하여 프로젝트의 실사용 가능성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거버넌스 측면에서는 토큰 보유자에게 스냅샷 기반의 투표권을 부여하고 있으며, DAO 위원회를 통해 운영의 투명성과 사용자 의견 반영에 힘쓰고 있다. 기술적으로도 UXLINK ONE 체인 및 AI 기반 자동화 프레임워크를 갖추고 있어 웹3 채택 장벽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메사리는 “UXLINK의 본질은 단기적인 가격 변화가 아닌 정교하게 설계된 토큰 발행 모델과 사용자 기반의 지속적 확장에 있다”고 강조했다. “전체 공급량이 공개된 상황에서도 실제 유통을 관리하는 설계는 장기적인 유동성 압력을 줄이고, 건강한 생태계 순환에 기여하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UXLINK의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은 UXUY 포인트 수요, 1억 사용자 달성 여부, 오프체인 활용도와 같은 다양한 지표에 달려 있다. 웹2와 웹3의 연계를 목표로 하는 소셜파이 프로젝트로서, UXLINK의 향후 움직임이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