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 가격이 반등하자, 이를 하락할 것이라고 믿고 고레버리지를 활용한 숏 포지션을 가진 고래 투자자가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익명 트레이더인 ‘@qwatio’는 하이퍼리퀴드 플랫폼에서 비트코인(BTC) 40배, 이더리움(ETH) 25배, 솔라나(SOL) 20배, 그리고 XRP 20배의 레버리지를 이용한 숏 포지션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XRP 가격이 2.894달러(한화 약 4,021원)를 넘어선 순간, 이 투자자의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며 65만 달러(약 9억 400만 원)의 손실을 초래했다. 전체적인 포지션 규모는 약 1,860만 달러(약 258억 5,400만 원)에 이르렀다.
해당 고래 투자는 이전에도 여러 차례 막대한 손실을 기록한 전력이 있다. 올해 6월, 단 3일 내 하이퍼리퀴드에서 여섯 차례 청산되며 총 1,000만 달러(약 139억 원)의 손해를 입었고, 7월에는 3억 3,400만 달러(약 4,643억 원)에 달하는 숏 포지션 대부분이 소멸되면서 누적 손실이 2,500만 달러(약 348억 원)를 초과했다. 당시 그의 자금은 1,630만 달러(약 226억 7,000만 원)에서 단 6만 7,000달러(약 9,313만 원)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이번 투자자는 3월에 BTC와 ETH에서 50배의 롱 포지션을 구축하며 많은 주목을 받았고, 특히 미국의 전략적 암호화폐 비축 자산 목록이 공개되기 직전에 대규모 USDC를 입금해 내부 정보를 이용한 거래 가능성에 대한 의혹을 받고 있다.
이 사건은 지나치게 높은 레버리지 전략이 고래 투자자에게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로 남게 되었다. XRP의 가격이 회복됨에 따라 숏 포지션을 정리하지 못한 것이 대규모 손실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반적으로 본 사안은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 및 고위험 거래의 위험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