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 파생상품 시장에서 최근 한 시간 만에 무려 3,000%에 달하는 청산 불균형이 발생하며 많은 롱(Position) 투자자들이 강제 청산당하는 급락 사태가 발생하였다. 암호화폐 파생상품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이번 단기 급락으로 인해 총 약 129만 달러, 즉 17억 9,310만 원에 해당하는 포지션이 청산되었으며, 특히 이 중 124만 달러인 약 17억 2,360만 원이 롱 포지션에서 발생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반면 숏 포지션에서의 청산금은 5만 4,950달러, 약 7,650만 원으로 그 규모가 미미하였다.
하루 전체를 기준으로 훨씬 더 극명한 불균형이 드러났다. 최근 24시간 동안 총 1,483만 달러, 즉 206억 1,070만 원이 청산되었으며, 이 중 1,102만 달러, 약 153억 1,780만 원이 롱 투자자의 몫이었다. 특히 이 청산은 단 4시간 간격으로 집중적으로 발생했으며, 롱 포지션에서의 청산금액은 697만 달러, 약 96억 8,930만 원인 반면, 숏 포지션에서의 청산분은 겨우 27만 8,880달러, 약 3억 7,660만 원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수치는 레버리지 기반 포지션이 시장 방향을 잘못 파악했을 때 얼마나 빠르게 청산될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현재 XRP의 가격 흐름 또한 약세장을 반영하고 있다. XRP는 장중 3.18달러까지 하락한 후 반등을 시도했지만, 3.24달러 저항선에서 가로막혀 상승세를 유지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5분 봉 차트에서는 가격이 점차 낮아지는 하락 패턴을 보이며 3.20달러 전후에서 잠시 바닥을 잡으려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번 사건은 거래량이 크지 않은 시장에서 가격의 소폭 변동조차 과도한 레버리지 투자를 한 투자자들에게 연쇄적인 강제 청산을 초래할 수 있음을 잘 보여준다. 일정 선 이하로 가격이 하락하면서 시장이 도미노처럼 무너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주요한 저항선인 3.24달러를 회복하고 최소 1시간 이상 유지할 경우, 숏 포지션의 청산에 따른 숏 스퀴즈가 발생하며 3.3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반면 회복에 실패할 경우, 단기적으로 3.23~3.25달러대에서 신규 롱 포지션 진입을 유도한 뒤, 3.16~3.17달러 구간으로 하락하는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결국 이번 사태는 시장 참여자들에게 레버리지의 위험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XRP와 같이 변동성이 큰 자산의 경우, 진입 시점과 리스크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XRP 파생상품 시장의 급락을 통해 투자자들은 시장의 흐름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하며, 적절한 리스크 관리 전략을 구사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