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ETF 시장이 비트코인을 넘어 주요 알트코인으로 확대됨에 따라, 월가의 제도권 편입이 탈중앙화의 본질적 가치에 도전하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제안된 XRP와 솔라나(SOL) 기반 상장지수펀드(ETF)의 출현이 이러한 논란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암호화폐 분석 플랫폼 알프랙탈(Alphractal)은 10월을 ‘코인트버(Cointober)’라고 부르며, 이달의 ETF 승인 러시가 암호화폐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알프랙탈에 따르면, 이러한 흐름은 혁신보다는 중앙화된 기업형 프로젝트를 제도화함으로써 암호화폐의 민주적 특성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다.
현재 2023년 기준으로 설계된 기관투자자가 보유한 암호화폐의 비중은 2% 미만이지만, 2025년에는 5%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약 24,000억 달러(약 3,336조 원)의 신규 자금이 디지털 자산 시장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금 유입이 암호화폐의 본질적 특성을 왜곡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리플랩스는 총 XRP 물량의 45~51%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약 40~45%는 에스크로 형태로 관리되고 있다. 또한 솔라나의 경우, 솔라나랩스와 관련 재단이 비통용 토큰의 약 40%를 소유하고 있으며, 초기 투자자와 같은 내부자들이 약 50%를 보유하고 있다. 대조적으로 이더리움(ETH)은 상대적으로 분산된 소유 구조를 이루고 있지만, 여전히 핵심 개발이 이더리움재단 중심으로 진행된다. 반면 비트코인(BTC)은 중앙집중적 통제 구조가 없다.
ETF 승인이 가속화되는 흐름도 주목할 만하다. 평균적으로 ETF 승인 절차가 240일 이상에서 75일로 단축되고 있는 것은 월가의 요구에 부합하는 규제형 투자상품이 빠르게 등장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이러한 상장지수펀드는 중앙화된 토큰 기업에 대한 기관 투자 선호도가 높아지고, 운용의 안정성도 강화되고 있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런 우려는 블랙스완캐피털리스트의 공동 창립자인 반델 알자라(Vandell Aljarrah)의 발언에서도 분명히 나타난다. 그는 XRP ETF와 관련하여, 이러한 상품이 투자자들에게 진정한 암호화폐 투자 접근으로 오해될 경우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ETF는 단순히 가격 노출만 제공하며, 송금, 스테이킹, 커스터디와 같은 실제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ETF를 ‘통제와 이윤 추구를 위한 금융기구’로 낙인찍었다.
결론적으로, 월가의 ETF 거래소 상장은 암호화폐의 제도권 편입을 의미할 수 있지만, 동시에 탈중앙화 철학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아이러니를 내포하고 있다. 암호화폐 생태계가 더 많은 자금을 유입시키기 위해 진입 장벽을 낮추는 한편, 본연의 목적과 얼마나 동떨어져 있는지를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