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 시가총액 3위 탈환 실패, 갈링하우스 “은행들의 프라이버시 우려가 주된 원인”

[email protected]



최근 암호화폐 시장이 다시 한번 큰 변화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고 있다. 리플(Ripple)의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는 은행들이 XRP를 채택하지 않고 있는 이유를 프라이버시 문제로 지목했다. 그는 인터뷰를 통해 “은행들은 거래 해시와 주소가 공공 블록체인에 노출되는 점 때문에 민감한 정보를 보호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규제나 기술적인 문제보다 기업 고객들이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경향이 더 큰 장애물로 작용한다는 설명이다.

갈링하우스는 “가명화된 데이터도 발신자의 신원을 완전히 감출 수 없다”며 은행들의 심정을 대변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플은 ‘크리덴셜스(Credentials)’라는 새로운 기술을 소개했다. 이는 KYC(고객확인제도) 기능이 탑재된 프라이버시 보호 프로토콜로, 기관들이 고객 데이터를 보다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더욱이 리플은 ‘탈중앙 신원 인증(DID)’ 기술을 확장하고 있으며, CEO는 “은행 통합의 진정한 실현은 기업 수준의 기밀성이 보장될 때까지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발표와 함께 XRP는 예상치 못한 타격을 입었다. 바이낸스코인(BNB)이 시가총액 기준으로 XRP를 제치고 3위를 차지하는 일이 발생했다. 바이낸스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1,139조 원(약 1836억 달러)로 급상승했으며, XRP는 약 1,088조 원(약 1717억 달러) 수준으로 밀려났다. 이 변화는 단순한 하락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바이낸스 생태계의 부활과 함께 일어난 ‘밈코인 불장’이 배경이 되었다.

특히 바이낸스의 창립자 CZ가 주도하는 디파이 파생거래소 ‘아스터(Aster)’가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아스터 토큰의 가격이 일주일 만에 무려 8000% 급등하면서 BNB 체인에서 여러 밈코인이 등장하여 투자자들의 많은 관심을 모았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XRP는 빠른 대응을 하지 못하고 시가총액 순위를 하락하게 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XRP가 3.10달러(약 4,309원)로 회복하지 못한다면 10월 내내 추가 하락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한편, 비트코인(BTC) 시장 상황도 간단치 않다. 비트코인은 최고가 126,000달러(약 1억 7,514만 원)에서 하락해 현재 약 121,000달러(약 1억 6,819만 원)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러한 하락세는 최근 24시간 동안 약 4%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이를 ‘과열 청산 이후 건전한 조정’으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현재 거래소의 비트코인 보유량이 6년 만에 최저치인 283만 BTC 수준까지 줄어든 점은 장기 보유자들이 매도할 의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외부 요인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일본 국채 금리가 급등하고 미국의 일부 셧다운 사태가 글로벌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면서 위험 자산 전체에 하방 압력이 발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기관투자자들의 상장지수펀드(ETF) 유입은 여전히 견조한 상태로, 지난주에는 비트코인으로 약 4조 9,345억 원(약 35억 5,000만 달러)의 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더리움(ETH)은 현재 약 4,480달러(약 623만 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바이낸스코인은 3% 추가 상승하여 약 1,320달러(약 183만 원)로 올랐다. 소형 대체불가능토큰(NFT)과 디파이 코인들은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도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