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RP의 투자자들이 대규모 차익 실현에 나서면서 최근에 관련 지표가 240%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흐름에도 불구하고 XRP의 가격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시장의 반응은 냉담한 상황이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글래스노드(Glassnode)에 따르면, 최근 XRP의 ‘실현 이익(realized profit)’ 지표가 지난 9월 말부터 현재까지 240% 증가했다. 이 지표는 투자자들이 실제로 매도 후 얻은 이익을 측정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가격 상승 시에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이익 실현이 하락세에서도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다. XRP 가격은 9월 말 3.09달러(약 4,032원)에서 현재 2.29달러(약 2,989원)로 하락했지만, 이 기간 동안 하루 평균 실현 이익 규모는 6,500만 달러(약 866억 원)에서 2억 2,000만 달러(약 2,932억 원)로 증가했다. 이것은 장기 보유자들이 더 이상 가격 상승을 기대하지 않고 현금화에 나섰음을 시사한다.
글래스노드는 10월 말에도 XRP의 고참 투자자들이 대규모 매도에 나섰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차익 실현은 과거 가격 반등 시나리오와 정반대의 흐름을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이 수익을 확정짓는 시기는 보통 긍정적인 전망이 있는 상황에서 발생하는데, 현재 시장은 그와는 다른 양상을 띠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XRP의 하락 국면에도 불구하고 리플은 다양한 호재를 발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최근 ‘리플 스웰’ 행사에서는 나스닥 CEO 아데나 프리드먼과 미국 디지털 자산의 고문인 패트릭 윗 등이 연사로 나섰으며, 리플은 5억 달러(약 6,665억 원)에 달하는 자금을 조달했으며, 암호화폐 커스터디 기업 팔리세이드도 인수했다. 또한, 마스터카드와 협업을 진행 중이라는 긍정적인 소식도 전해졌다.
더불어, 프랭클린템플턴을 포함한 여러 ETF 발행사들이 현물 XRP ETF를 위한 자료(S-1)를 업데이트했지만, 그러한 낙관적인 신호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반등하지 않고 있다. 현재 XRP는 코인게코(CoinGecko) 기준으로 2.29달러(약 2,989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지난주 대비 약 9% 하락했다.
주요 호재에도 불구하고 강한 차익 실현 물량이 쏟아짐에 따라 XRP는 강세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시장 내 매수 심리가 약화되고 있으며, 단기적으로 추가 약세 압력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XRP가 반등 궤도에 오르기 위해서는 실현 이익 흐름이 둔화되고, 매도세가 진정되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XRP의 향후 움직임은 이러한 시장 심리와 실현 이익의 흐름에 크게 의존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