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미국 내에서 리플(XRP)을 겨냥한 피싱 사기가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리플 측이 공식 경고를 발령했다. 리플은 최근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XRP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피싱 시도가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유튜브 생방송’을 사칭한 사기 범죄가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사기 사건의 급증은 두 가지 중요한 사건과 관련이 있다. 첫째는 미국에서 개최된 ‘스웰(Swell) 컨퍼런스’의 종료와 둘째는 최초의 리플 상장지수펀드(ETF) 출시가 겹쳤기 때문이다. 리플 측은 “우리는 스웰 행사 전후로 유튜브에서 리플을 사칭한 생방송이 많이 올라온 것을 확인했다”며 “리플은 절대 투자자에게 XRP를 송금해 달라고 요청하지 않으며, 그러한 요청은 전적으로 사기”라고 경고했다. 실제로 일부 사기 영상은 XRP를 특정 주소로 송금하면 배로 돌려준다는 유혹적인 제안으로 사용자들을 현혹시키고 있다.
리플의 이번 경고는 처음이 아니다. 리플의 최고경영자(CEO)인 브래드 갈링하우스는 지난 7월에도 유사한 피싱 범죄에 대해 투자자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당시 XRP 가격이 3.65달러(약 4,871원)로 상승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틈을 타 사기 시도가 급증했다.
또한, 이번 사기는 미국 내 최초의 현물 기반 XRP ETF 출시와도 연결된다. 최근 카나리 캐피털(Canary Capital)의 XRP ETF 상품인 ‘XRPC’가 나스닥에 상장되면서 하루 거래량이 약 6,000만 달러(약 820억 원)에 이르고, 순유입 금액도 2억 5,000만 달러(약 3,425억 원)를 넘기며 비트와이즈(BSLO)의 솔라나 ETF를 초과했다. 이러한 ETF 출시는 대중의 관심을 높이며, 사기범들의 활동 증가를 돕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XRP ETF는 비트코인(BTC)와 이더리움(ETH) 기반의 현물 ETF가 이미 출시된 뒤 투자자들 사이에서 많은 기대를 끌어왔으며, XRP의 차례는 오래전부터 예견되어 왔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ETF의 출시와 대규모 행사 종료가 맞물리면서 사기 시도가 급증한 것은 투자자들의 과열 심리를 이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리플은 “리플 공식 계정은 결코 XRP를 보내달라고 요청하지 않는다”며 “어떤 플랫폼에서든 지나치게 매력적인 제안은 대개 사기일 가능성이 높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공식 채널을 통해 리플의 공지 및 보안 정보를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사기 사건이 빈번해짐에 따라, 투자자들은 조심하고 공식 정보를 통해 사기를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리플에 대한 기대가 커지는 만큼, 이에 따른 경각심 또한 높아져야 할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