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호화폐 시장에서 XRP가 급격한 매도세 속에서 하루 만에 엄청난 청산 불균형을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24시간 동안 XRP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약 7,905만 달러(한화 약 1,099억 7,950만 원) 규모의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으며, 이 중 약 7,816만 달러(한화 약 1,086억 4,240만 원)가 ‘롱(매수)’ 포지션에서 발생했다. 반면 숏(매도) 포지션의 청산액은 대략 89만 달러(한화 약 123억 7,100만 원)에 불과해, 이 두 집단 간 청산 불균형은 무려 8,782%에 달하는 수치를 기록했다.
이와 같은 XRP의 청산 불균형은 단순한 청산만이 아니라 암호화폐 전반의 강제 청산 랠리 중에서도 두드러진 통계로 부각되고 있다. 시장 데이터 플랫폼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청산 총액은 16억 7,000만 달러(한화 약 2조 3,213억 원)에 달하며, 그 중 롱 포지션의 청산액은 15억 9,000만 달러(한화 약 2조 2,101억 원)에 이른다. 이는 다수의 투자자가 낙관론에 기반하여 포지션을 잡았음을 암시한다. 이더리움(ETH)은 약 5억 달러(한화 약 6,950억 원), 비트코인(BTC)은 2억 8,500만 달러(한화 약 3,961억 5,000만 원)의 청산을 기록했으나, 청산 방향성과 격차에서는 XRP가 단연 상위권에 위치한다.
이날 XRP 가격은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며 거래자들에게 ‘롤러코스터’와 같은 경험을 안겼다. XRP의 가격은 2.88달러에서 2.66달러로 급락한 후 소폭 회복되어 2.8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러한 급작스러운 가격 변화는 일부 투자자들의 포지션을 순식간에 소멸시켰으며, 결과적으로 시장 유동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XRP의 전망에 대한 과도한 기대감으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이 한 방향으로 쏠리면서 시장 안정성이 흔들린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청산이 특정 방향으로 극단적으로 편중되는 현상이 전체적인 변동성 확대와 관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투자자 신뢰가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단기적으로 반등 시도가 있을 수 있으나, 뚜렷한 기술적 지지선이 확보되지 않는 한 XRP 투자에 대해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내려지고 있다. 이번 폭락은 단순한 청산에 그치지 않고, 시장 심리가 어떻게 한 방향으로 편중될 수 있는지를 경고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