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 현물 ETF 출시, 향후 암호화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email protected]



리플(XRP) 기반의 첫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REX-오스프리 ETF(XRPR)’의 출시가 임박하면서, 업계는 이 새로운 금융 상품이 투자자들로부터 얼마나 많은 수요를 이끌어낼지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 시장에서의 이번 ETF 출시는 XRP에 대한 투자 수요를 측정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노바디우스자산운용(NovaDius Wealth Management) 대표 네이트 제라시는 “이번 ETF 출시는 XRP에 대한 수요를 측정하는 의미 있는 시험대”라며, 이미 기존의 XRP 선물 기반 ETF가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가 넘는 운용 자산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는 현물 ETF로의 전환이 미칠 시장의 파급력을 특히 중요하게 만든다.

XRPR은 일반적인 ‘33법(1933년 증권법)’에 기반한 전통적인 ETF와는 달리 ’40법(1940년 투자회사법)’ 구조로 운영된다. 이러한 구조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명시적 승인을 받지 않고도 출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ETF의 약 80%는 리플(XRP)와 관련된 자산으로 구성될 예정이지만, 나머지에 대한 세부 사항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이미 암호화폐 ETF 시장에서는 솔라나(SOL)를 기반으로 한 유사 ETF가 오스프리와 REX의 협력으로 출시된 바 있어, XRP ETF가 성공적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높인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투자자 수요의 예측 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지적한다.

현재 비트와이즈(Bitwise)와 같은 여러 자산운용사들이 XRP ETF 출시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작년 10월 비트와이즈는 먼저 SEC에 관련 서류를 제출한 바 있다. 이후 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 등 기존의 금융기관들도 대응에 나섰으나, 블랙록($BLK)과 피델리티($FNF)와 같은 대형 투자기관들이 XRP에 대한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는 점은 시장의 우려를 magnify하는 요소로 분석된다.

암호화폐 운용업계는 XRP ETF가 출시 초기부터 기관 자본을 끌어들이며 시장의 기대를 얼마나 충족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제라시는 “XRP ETF가 예상 밖의 자금 유입을 기록할 가능성도 있다”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이번 XRPR의 출시는 단순한 금융 상품의 추가에 그치지 않고, XRP가 기존의 금융 시장에 얼마나 흡수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XRP ETF의 성공 여부는 향후 암호화폐 기반 금융 상품들의 정책적 및 제도적 흐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이 ETF의 출시는 암호화폐와 전통 자산군 간의 통합 가능성을 모색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