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플(XRP)의 상장지수펀드(ETF) 출시가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출시 첫날에만 8천만 개의 XRP가 시장에 유입됐다. 이러한 자금 흐름은 최근 솔라나(SOL) ETF 출시와 비교했을 때 월등히 높은 초기 금액으로,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XRP 인사이트 통계에 따르면, 11월 24일 기준 XRP ETF의 운용 자산(AUM)은 약 7억 7,800만 달러, 즉 약 1조 1,382억 원에 달해 급증했다. 그레이스케일의 GXRP와 프랭클린템플턴의 XRPZ는 각각 출시 첫날에 6,740만 달러(약 985억 원)와 6,260만 달러(약 915억 원)를 모으며 총 1억 3,000만 달러(약 1,901억 원) 규모의 자금을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점은 비트코인(BTC) 시장에서 일부 자금이 이탈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도 XRP ETF가 이러한 흡입력을 보였다는 점이다. XRP ETF의 성공은 일회성 이벤트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 중장기적으로 리플의 가격 회복에 구조적인 지지를 제공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현재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XRP는 상승 깃발형(bullish flag) 패턴을 형성하고 있지만, 주요 지수 이동평균(EMA) 이하에서 거래되고 있어 여전히 약세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전문가들은 ETF의 초기 유입 보다 앞으로 몇 주 간 자금 유입이 지속될 수 있는지가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는 단기적인 투자 테마가 아닌, 기관의 지속적인 유동성 유입이 XRP 투자에 있어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XRP ETF의 출시는 기존 비트코인과는 다른 대체 자산에 대한 기관의 수요를 재확인하는 결정적인 지표로 작용하며, 다른 알트코인에 대한 ETF 검토 가능성도 높이고 있다. 현재 단기 기술 지표가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ETF 자금의 지속적인 유입이 이루어진다면 구조적인 상승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이 향후 방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이 XRP ETF는 단순히 새로운 투자 상품을 넘어서서 리플 생태계와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점에서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