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의 1인당 알코올 소비량이 7.84ℓ로 떨어지며 199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건강 문제와 금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젊은 세대의 변화가 주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세금 인상과 주류 가격 상승이 주류 소비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이즈베스티야 등 러시아 언론에 따르면, 올해 들어 러시아의 음주량은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3월의 8.41ℓ에서 시작해 4월 8.32ℓ, 5월 8.22ℓ, 6월 8.12ℓ, 7월 8.01ℓ, 8월 7.93ℓ로 매달 줄어들며 1~9월 월평균 소비량은 8.18ℓ로 집계되었다. 이러한 감소세는 젊은 세대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과 정신 건강 관리, 금주 문화를 확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기인하고 있다.
최소 음주량을 기록한 지역은 무슬림인구가 많은 체첸(0.13ℓ)과 잉구세티아(0.62ℓ)로 나타났다. 반대로, 우랄산맥 인근의 스베르들롭스크주는 1인당 10.49ℓ로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러시아 북부 지역에서는 혹독한 날씨에 대한 전통적인 믿음 때문에 고도 주류 소비가 여전하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모스크바는 업무 중심지로 음주 통제가 상대적으로 엄격해 4.91ℓ로 집계를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1990년대의 통계가 저알코올 음료를 포함하지 않았고, 그 당시 불법 보드카 거래가 많았음을 지적하며 현재 통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전했다. 최근 주류 소비세의 인상으로 보드카의 소매 최저가는 299루블에서 349루블로 상승하였고, 이로 인해 합법적인 주류 생산도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모든 세대에서 동일한 소비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비교적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젊은층과 고소득층의 음주율은 감소하고 있지만, 노인층과 사회적 취약계층에서는 여전히 음주량이 비슷한 수준으로 남아있다. 대신, 무알콜 맥주와 와인 같은 대체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러시아 사회에서 음주 문화의 변화와 함께 건강에 대한 가치관이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사례이다. 성숙하고 건강한 소비 문화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의 변화가 어떤 방향으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