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 호흡” 이론, 인공호흡기 대체 가능성 확인

[email protected]



지난 해 이그노벨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던 ‘엉덩이 호흡’ 이론이 실제 의료 현장에서 적용될 가능성이 나타났다. 일본과 미국의 공동 연구진이 폐 기능 저하로 인해 정상적인 호흡이 어려운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장내 환기(enteral ventilation)’ 기술의 첫 인체 임상시험에서 안전성이 확인된 것이다.

이번 연구는 물고기, 거북, 해삼, 그리고 돼지와 같은 일부 동물들이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항문이나 장 점막을 통해 산소를 흡수하며 생존하는 방식에 주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진은 이러한 전략을 인간에게도 적용할 수 있도록, 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산소가 풍부한 액체를 직장으로 주입하여 혈류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실험은 일본에서 27명의 건강한 남성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진은 산소 운반 속성이 뛰어난 퍼플루오로데칼린(perfluorodecalin) 액체를 사용하여 관장 방식으로 직장에 주입하고, 60분 동안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번 실험은 안전성 확인이 주 목적이었으며, 그러므로 산소가 포함되지 않은 액체가 사용되었다.

시험 결과, 20명의 참가자가 최대 1.5리터까지 액체를 견디며 실험을 완료하였고, 일부는 불편함과 팽만감을 느꼈으나 심각한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았다. 연구를 주도한 다카노리 다케베 박사는 “이번 시험은 시술 과정이 인간에게 안전한지를 확인하는 단계였으며, 산소 공급의 효과는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그는 향후 단계에서 실제 산소를 함유한 액체를 사용하여 혈중 산소 농도를 얼마나 개선할 수 있는지를 평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연구진은 이 기술이 기도 손상, 폐렴, 중증 호흡 부전 등으로 인해 산소 공급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인공호흡기를 대체하거나 보조하는 혁신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기술은 돼지를 대상으로 한 초기 연구 결과가 2021년 Med 저널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2024년에는 이그노벨 생리학상을 수상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개발은 호흡기 질환 환자들에게 혁신적인 치료 가능성을 열어줄 것으로 보이며, 임상현장에서의 유용성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해당 기술이 실제로 얼마나 효과적으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더 발표될 것이다.

Leave a Comment